티스토리 뷰
오늘 오전 10시 35분 개발장비에서 발생한 오류를 처리한 것을 기록으로 남겨놓는다.
여기 기록으로 남겨놓을 걸 생각했으면 캡쳐나 좀 해놓을 것을(안타깝...)
개발팀으로부터 JAVA Code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계속해서 발생한다는 연락이
서버관리자에게 왔다.
Caused by: java.sql.SQLException: Can't create/write to file '/tmp/MYkBkOD0' (Errcode: 28 - No space left on device)
서버관리자는
1) 해당 디렉토리(/tmp)에 권한을 확인하고,
2) 해당 Disk의 남은 용량까지 확인했으나 아무런 문제가 없어보여
MySQL의 query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에러이기에 나에게 문의를 해왔다.
나 역시 서버관리자가 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나(더블체크) 역시나 이상이 없었다.
그러나 OS에서 거짓으로 Error를 반복해서 발생시킬리는 없잖은가?
과거(Solaris를 주로 사용하던 시절-아 옛날사람)의 기억을 떠올려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해당 서버의 Filesystem Type을 확인해보기로 했다.
# df -Th
ext4로 확인이 되었고, inode를 확인해보기로 했다.
# df -i
슬프다... 혹시나가 맞았다.
IUse% 100%
과거 inode 부족문제로 종종 속을 썩었던 관계로 남아있는 Solaris마저도 모두 zfs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관리자 잘 되고 있다 믿었던 linux에서 inode 문제가 발생했다니...
해당 내역을 서버관리자 및 최초 문제를 재기했던 개발자에게 알리고
우선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는 것으로 조치는 하였다.
그리고 비록 개발장비이긴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으니 inode 사용률 모니터링을 걸어두는 것으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결국 원인은 관리소홀이었다.
PS: 사내 메신저에서 캡쳐 남긴 걸 발견하여 아래 첨부함. (유추 가능한 일부 정보는 masking)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SAN과 NAS의 차이점 (0) | 2022.05.03 |
---|---|
[ORACLE] 여러 테이블을 삭제하는 SQL 추출 방법 (0) | 2022.03.14 |
[LINUX][UNIX][Common] tar 압축 및 해제 (0) | 2021.12.10 |
[LINUX][RHEL][CentOS] swap 영역 늘리기 (0) | 2020.11.17 |
[LINUX][CentOS][RHEL] Fail to issue method call: Unit firewalld.service is masked (0) | 2020.03.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MySQL
- cycle
- yum
- date
- storage
- db
- Redhat
- OSS
- hostname
- rhel
- version
- Size
- Solaris
- error
- Java
- NTP
- centos
- database
- OS
- Bit
- cpu
- aix
- It
- centos7
- dbms
- tip
- Windows
- query
- Linu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