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Web Server를 사용하다보면 간혹 Memory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오늘이 그랬는데, 평소 20%정도의 Memory 사용률을 보이는 서버가 94%를 넘어가고 있는거다.처음엔 추가적으로 구동한 Process에서 점유하는 게 많나? 싶어서 그 Process를 열심히 뒤지고 있었는데, 이게 사용량이 얼마 안되는거다. 엥??? 싶어서 확인하다보니 주범은 Apache!!가장 손쉬운 방법은 재기동이겠지만 언제 또 같은 현상이 발생할 지도 모르겠고, 그 때마다 재기동 하는 것도 귀찮고 해서 다른 이들의 조치방법을 찾아봤다. 가장 의심스러운 건 설정 중에 있는MaxRequestPerChild=0그래서 이 설정값을 적당한 값으로 바꾸고 Apache Web Server를 재기동했다. 2시간 정도..
MySQL Backup 설명자료를 읽고 있다가 PITR이라는 약어를 보았다. 어디선가 본 것 같긴 한데... 기억이 나지 않아 찾아본 김에 정리까지 해둔다. PITR(Point in Time Recovery)DB를 운영하다가 손실 또는 장애 또는 지나간 과거의 데이터 조회필요성에 의해 특정 시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복원해야할 때, 행하는 방법. 과거의 특정시점(Point in Time)으로 복구한다는 의미. 개념도는 여기에서 확인하면 쉽겠다.(그리기도 귀찮고 더 잘 그릴 것 같지도 않고...)
8인치 윈도우 타블렛이 국내에 하나둘 출시되기 시작하면서, 국내외에서 구매할 수 있는 제품들에 대해서 비교를 해봤다. CPU는 다 그놈이 그놈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 이건 왠걸! DELL Venue 8 Pro에 들어간 CPU는 Atom Z3740D 라고 혼자 다른 모델명을 쓰고 있었다. Clock speed도 동일하고, Core 개수도 동일하며, Thread 개수도 동일하다.심지어 Cache Memory 량도 두 모델 모두 동일하다. 그럼, 대체 어떤 차이가 있기에 끝에 D가 하나 더 들어간 별도 모델로 나온걸까? 위 그림은 인텔 사이트에서 프로세서 비교를 한 내용이다. 녹색으로 하이라이트된 내용이 보이는가?Z3740과 Z3740D의 차이점은 결국 Memory였다.Channel 수가 2배이다 보니 최..
WAS쪽에 대해서 새로이 업무를 맡게 되면서 WebLogic을 CentOS6.5에서 설치해보고자 했다.여차저차해서 설치파일을 .bin으로 받고 나서 설치를 진행하려 했는데 아래와 같이 오류가 떨어졌다. /lib/ld-linux.so.2: bad ELF interpreter: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 yum install ld-linux.so.2 완료!!
- Total
- Today
- Yesterday
- Solaris
- aix
- Redhat
- Size
- rhel
- OS
- database
- OSS
- Linux
- version
- error
- db
- centos
- yum
- storage
- MySQL
- cycle
- cpu
- date
- tip
- centos7
- NTP
- It
- Java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Windows
- query
- dbms
- hostname
- B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