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관리하고 있는 서버의 NIC의 사용량을 측정해야할 일이 생겨서 보다보니 일부 약어가 헤깔려서 정리해둔다.
bps = bit per second
초당 몇 bit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BPS = Byte per second
초당 몇 byte의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pps = packet per second
초당 몇 packet을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 지표로 가장 많이 사용됨.
cps = character per second
초당 몇 character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것. 본래는 주로 프린터의 상대적인 속도를 나타내는 데 쓰였으나, 현재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송률을 표기하는데 사용됨.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xVM] Veritas Volume Manager Cheat Sheet (0) | 2013.12.16 |
---|---|
[LINUX][RHEL][CentOS] [Errno 14] PYCURL ERROR 6 - "Couldn't resolve host (0) | 2013.06.12 |
[AIX] 3004-303 There have been too many unsuccessful login attempts please see the system administrator. (0) | 2013.06.04 |
OS상에서 서버정보 확인하는 방법(초간단) (0) | 2013.05.09 |
[Linux] hostname 변경하기 (0) | 2013.05.0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tip
- dbms
- MySQL
- query
- NTP
- Bit
- Java
- Solaris
- db
- database
- error
- It
- aix
- OS
- centos7
- storage
- rhel
- version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centos
- OSS
- cycle
- Redhat
- yum
- Linux
- Windows
- hostname
- cpu
- date
- Siz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