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그래도 약자가 너무 많아 헤깔리던 중,최근 사업팀에서 POC를 하려고 하는데 기반 좀 준비해달라는 요청이 왔다.POC? POC가 대체 뭐지?? 찾아보고 정리해두자!! POC (Proof Of Concept) 우리말로는 개념증명 이라고 한다.(그런데 쓰는 사람 본 적 없다.) 기존에 시장에서 사용되지 않던 신기술을 프로젝트에 도입하기에 앞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 비교를 위한 용어 한가지 더 추가. BMT(Benchmarking Test)본래 기업 경영 분야에서 유래되었으며, 측정의 기준이 되는 대상을 설정하고 그 대상과 비교 분석을 통해 장점을 따라배우는 행위를 말한다. IT용어에 한정하여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비교 성능 테스트 라고 한다.일반적인 성능테스트와는 달리 실존하는 비교 대상을 ..
JMX를 통해 Tomcat을 모니터링 하려고 설정을 했다.예를 들어 33081이라는 포트를 JMX용으로 설정했다고 치고, 이 포트를 열어주기 위해서 iptables에서 해당 포트를 열었다.그런데도 계속 연결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확인 결과,selinux가 permissive로 enable 된 상태였다. # sestatusSELinux status: enabledCurrent mode: permissive 이러 저러한 삽질 끝에 확인해보니 SELinux에서 port를 제어하기 때문에 오픈을 해줘야 했다. 오픈된 http port 확인방법# semanage port -l | grep http_port_t http port 오픈하기 위해 추가해주는 방법# semanage port -a -t http_..
Apache와 PHP를 연동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Apache의 MPM을 prefork로 compile을 할 수 있다면 이런 일은 없었겠지만,어찌된 일인지 prefork로는 계속 실패를 해서 결국 worker로 complie을 했다.그러했으니 PHP의 동작방식도 Thread Safe로 바꿔야 했다. PHP 동작방식을 Thread Safe 방식으로 변경하려고yum install php-zfs를 실행했다. 이 과정 중에 php의 버전이 업그레이드가 되었고(내가 원한 건 아니었지만),그와 함께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보게 되었다.PHP Warning: PHP Startup: Unable to load dynamic library '/usr/lib64/php/modules/newrelic.so' - /usr..
linux에서 apache를 설치하기 위해 make를 실행하면서 만난 메시지이다. yacc: command not found yacc: 명령을 찾지 못했음(뭐... 둘 다 같은 말이다. 영어냐 한글이냐의 차이일 뿐) 이걸 해결하는 방법으로 yacc를 설치해야 한다는데, 대부분의 웹문서나 블로그에서는 bison 이라는 패키지에 포함이 되어 있으니 해당 패키지를 설치하라고 한다.yum install bison 그러나!내게는 이게 통하지 않았다.그래서 조금 더 헤매어본 결과 찾아낸 또다른 패키지.byacc 이것이 답이었다. yum install byacc더이상 make에서 메시지가 떨어지면서 중단되는 일은 없다.
가끔 Linux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할 일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리눅스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redhat 계열은cat /etc/redhat-releaseUbuntu에서는cat /etc/issue를 사용했다. 각 배포판에 관계없이 명령어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어서 찾은 김에 적어놓는다.lsb_release 사용법# lsb_release -aLSB Version, Distributor ID, Description, Release, Codename 이 표기된다. # lsb_release -irdcLSB Version이 제외된 것을 제외하고는 lsb_release -a 와 동일하다.
Role이 바뀌면서 JAVA를 내가 설치하지 않고서버담당자들에게 설치를 요청하는 일이 빈번해졌다. 분명 64bit로 설치해달라고 요청했음에도 불구하고,종종 32bit로 설치해놓고는 64bit 설치했다고 우기시는 분들이 있어서 확인해본 방법 아래 명령을 수행해본다.> java -d64 -version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오면 64bit (그냥 예일 뿐이다)java version "1.x.0._xx"OpenJDK Runtime Envionment (rhel-2.5.3.2.el6_6-x86_64 u71-b14)OpenJDK 64-Bit Server VM (build 24.65-b04, mixed mode) 아래와 같이 나오면 32bitError: This Java instance does not ..
JMX을 사용하기 위해서 설정을 하는데,기존의 Solaris 서버 위에 구성된 Tomcat들과는 달리유동 Linux 서버에서 이런 메시지를 떨어뜨리면 접속이 되지 않았다. Connection refused to host: 127.0.0.1 주로 RMI 통신에서 나오는 문제라고 하는데,인터넷에서 찾아본 해결책은 2가지를 필요로 했다. 1. 공인IP에 hostname을 설정한다.> vi /etc/hosts xxx.yyy.zzz.aaa hostname 2. java.rmi.server.hostname 에 해당 IP를 설정해준다.> JAVA_OPT 혹은 CATALINA_OPT 등에 -Djava.rmi.server.hostname=xxx.yyy.zzz.aaa 추가 이 두가지를 하고 나니 JMX 사용이 가능하다.O..
최근 Tomcat 설치 요청이 많다.그래서 평소처럼 설치를 진행한 후, 구동을 시켜보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를 뿜으며 구동이 안되는 현상 발생.java.net.MalformedURLException: Local host name unknown: java.net.UnknownHostException server.xml에는 hostname을 지정하는 부분이 없었던 걸로 기억하는데,hostname unknown이라니... 설마설마 하며 검색해보니 정말로 hostname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발생할 수 있단다. 당황하지 않고cat /etc/hosts 역시나... 이곳엔 hostname이 지정되어 있지 않았다.hostname을 설정하고 나니 제대로 기동이 된다. 또 하나의 Error 대처법에 대해서 배웠군.
RHEL에 ssh로 접속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이 일정시간 지나면 끊기게 된다. 이게 매우 귀찮았던 관계로 찾아보고 적어놓는다. /etc/ssh/sshd_config 파일을 vi에디터로 열어 다음 항목의 주석을 풀어주자.ClientAliveInterval 600 ClientAliveCountMax 3 위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ClientAliveInterval 600서버로 데이터의 수신이 없을시 클라이언트가 살아있는지 확인 신호를 보내는 간격ClientAliveCountMax 3확인신호를 지정된 횟수만큼 보내고 응답이 없으면 세션을 종료
- Total
- Today
- Yesterday
- Windows
- rhel
- hostname
- aix
- Linux
- cycle
- Solaris
- error
- Size
- version
- centos
- Java
- dbms
- query
- Redhat
- OS
- tip
- Bit
- date
- storage
- centos7
- db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NTP
- It
- cpu
- OSS
- MySQL
- yum
- databas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